컴북스닷컴
Show Navigation Hide Navigation
  • 컴북스
  • 지만지
  • 학이시습
  • 지공
  • 기획시리즈
홈 / 지만지 / 한국문학 / 조향 시선 초판본
x9788966803996.jpg

조향 시선 초판본

읽기   인티  
지은이 조향
엮은이 권경아

책소개

지식을만드는지식 ‘초판본 한국시문학선집’은 점점 사라져 가는 원본을 재출간하겠다는 기획 의도에 따라 한국문학평론가협회에서 작가 100명을 엄선하고 각각의 작가에 대해 권위를 인정받은 평론가들을 엮은이로 추천했다. 엮은이는 직접 작품을 선정하고 원전을 찾아냈으며 해설과 주석을 덧붙였다.
각 작품들은 초판본을 수정 없이 그대로 타이핑해서 실었다. 초판본을 구하지 못한 작품은 원전에 가장 근접한 것을 사용했다. 저본에 실린 표기를 그대로 살렸고, 오기가 분명한 경우만 바로잡았다. 단, 띄어쓰기는 읽기 편하게 현대의 표기법에 맞춰 고쳤다.

조향은 이성 중심의 합리성에 의해 억압된 자유정신을 해방하려는 초현실주의 시 세계를 보여 준다. 그에게 근대와 근대성은 당대의 현실이 아니라 초현실을 추구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조향을 비롯한 초현실주의자들은 합리와 이성과 논리에 의해 배척되고 무시되었던 무의식을 회복해 진정한 현실, 즉 초현실에 이르려 한다. 초현실주의의 과격한 기법 실험은 무조건적인 파괴나 부정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것은 현실과 꿈이 구분되지 않는 무의식의 세계를 기술함으로써 현실의 부조리와 모순을 폭로하는 것이며 당대 현실에 대한 반항과 저항의 의미를 지니는 것이다.
그는 초현실주의의 방법이 하나의 예술 이론이나 방법론으로 출발한 것이 아니며 인간 해방, 하나의 세계관의 출발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초현실주의의 자동기술법을 사용할 때 “제한된 의식 공간(현실 공간)을 넘어 무제한의 의식 공간(무의식 공간)으로 해방”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현실과 꿈의 변증법적 합일을 통해 초현실의 실현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이러한 초현실이야말로 본질적인 현실이라는 것이다. 조향은 초현실주의의 방법이 하나의 예술 이론이나 방법론으로 출발한 것이 아니며 인간 해방, 하나의 세계관의 출발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초현실주의의 자동기술법을 사용할 때 “제한된 의식 공간(현실 공간)을 넘어 무제한의 의식 공간(무의식 공간)으로 해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조향은 초현실주의 기법으로 당대 사회 현실을 비판하고 부정함으로써 모더니즘의 비판과 저항 정신을 보여 주었다. 비록 초현실주의의 시적 형상화에서 한계가 지적되고 있지만 그의 초현실주의 기법적 실험은 모더니즘의 한 양상을 보여 주며 우리 현대 시의 지평을 넓히고 있다는 점과 1950년대라는 비극적 현실에 대응하며 새로운 시대를 열어 가려는 다양한 미학적 저항의 시도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인정해야 할 것이다.


 
200자평

1950년대 실험파의 선두주자 조향. 현실적이고 일상적인 의미를 파괴하고 의식적으로 단절할 때 새로운 이미지가 태어난다. 현실과 꿈의 변증법적 합일을 통한 초현실의 실현이다. 조향은 초현실주의 기법으로 당대 사회 현실을 비판하고 부정함으로써 모더니즘의 비판과 저항 정신을 보여 주었다.


 
지은이

조향(趙鄕, 1917~1984)은 경남 사천군 곤명면 금성리(친가는 사천군 곤양면 환덕리) 외가에서 1917년 12월 9일(음력 9월 22일)에 아버지 조용주(趙鏞周)와 어머니 강숙희(姜淑喜)의 맏아들로 태어난다. 아명은 희제(嬉濟), 본명은 변제(變濟)였다. 1932년 진주고등보통학교에 수석으로 입학해 급장을 맡고 우등생으로 지내면서 생물, 미술, 습자, 음악, 문학 등의 취미를 가졌다. 당시 조선어 선생이던 박중구(朴重九) 선생의 자극, 영향으로 문학에만 뜻을 두게 되고 교우회지(校友會誌)에 시, 기행문 등을 발표한다. 1937년 진주고보를 졸업하고 대구사범학교 강습과에 입학, 수료 후 김해 가락국민학교로 발령받는다. 1940년 ≪매일신보≫에 시 <초야(初夜)>가 당선된다. 일본대학 예술학원(현 예술학부) 창작과에 합격했으나 동 대학 전문부 상경과로 옮긴 후 애인 배기근(裴基根)에게 보낸 장문의 편지가 일본 관헌의 검열에 걸려 민족주의 사상이 농후하다는 이유로 추방당한다. 이후 마산에 돌아와 ≪시문학연구(詩文學硏究)≫지 동인으로 시작 활동을 하게 된다. 조부의 만년의 아호였던 ‘훈(薰)’ 자를 따서 필명으로 사용하다 1946년 시동인지 ≪노만파(魯曼派)≫를 창간하고 이때부터 필명 ‘훈’을 ‘향(鄕)’으로 바꾸어 사용한다.
1942년부터 마산 월성국민학교 강사로 다시 교단에 서게 되고 함안 북월촌국민학교(1944), 마산 월영국민학교(1945), 마산 고급상업중학교(1946) 등을 거쳐 1947년 동아대학교 전임강사로 대학 강단에 서게 된다. 이후 동아대 교수로서 학보사 주간(1953∼1966), 국문학과장, 물리대학장(1960∼1962), 도서관장(1963∼1966) 등을 거치면서 약 20년간 봉직하다 1966년 서울로 이주한 후 MBC 해설위원(1969∼1970), 명지대학 강사(1972∼1981) 등을 역임하고 1984년 8월 9일 동해안 피서지에서 심장마비로 급서한다.


 
엮은이

권경아(權敬兒)는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문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한양대학교에 출강하고 있다. 문학 비평가로 시전문지 계간 ≪시현실≫과 ≪리토피아≫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차례

初夜
EPISODE
조개
오늘에 부르는 너의 이름은
體操
花粉의 거리
한가위
가을과 少女의 노래
大淵里 抒情
BON VOYAGE!
1950년대의 斜面
Normandy 航路 前夜
不毛의 에레지
바다의 層階
透明한 午後
SARA DE ESPERA(抄)
검은 DRAMA
어느 날의 MENU
어느 날의 地球의 밤
왼편에서 나타난 회색의 사나이
秋風感別曲
검은 神話
綠色의 地層
푸르른 영원
綠色 倚子가 앉아 있는 베란다에서
文明의 荒蕪地
Salomé의 달밤
永訣
그날의 蜃氣樓
검은 SERIES
검은 전설
植物의 章(抄)
장미와 수녀의 오브제
‘쥬노’의 독백
물구나무선 세모꼴의 抒情
검은 Cantata
밤
죄
ESQUISSE
砂丘의 古典
코스모스가 있는 층계
붉은 달이 걸려 있는 風景畫
聖바오로 病院의
검은 否定의 arabesque
검은 ceremony
낡은 쇼우 무대에
하얀 傳說들
地球 慰靈塔 위에
處處春芳動
칸나가 불을 켜 들면
太陽의 經水·끈끈이주걱·搔爬手術
쥐꼬리망치科에 속하는 詩
一同用 辨證法 모퉁이에서
디멘쉬어 프리콕스의 푸르른 算數
詩篇들은 옴니버스를 타고
운동학적 처녀성
木曜日의 하얀 肋骨
해설
지은이에 대해
엮은이에 대해


 
책속으로

●바다의 층계(層階)

낡은 아코오뎡은 대화를 관뒀습니다.

-여보세요?

폰폰따리아
마주르카
디이젤−엔진에 피는 들국화,

-왜 그러십니까?

모래밭에서
受話器
女人의 허벅지
낙지 까아만 그림자

비둘기와 소녀들의 랑데−부우
그 위에
손을 흔드는 파아란 깃폭들

나비는
起重機의
허리에 붙어서
푸른 바다의 층계를 헤아린다



서지정보

발행일 2014년 6월 10일
쪽수 198 쪽
판형 128*188mm ,  210*297mm
ISBN(종이책) 9788966803996   03810   16000원
ISBN(PDF) 9791130493336   05810   12800원
ISBN(큰글씨책) 9791130457321   03810   23000원
분류 시, 지만지, 한국문학
초판본한국시문학선집
Facebookgoogle_plus



위로가기



 

회사소개   알리는말씀   이용약관  유료서비스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회사약도   페이스북컴북스   페이스북지만지
커뮤니케이션북스(주) 02880 서울시 성북구 성북로 5-11 commbooks@commbooks.com 02.7474.001 02.736.5047
대표이사 박영률 사업자등록번호 105-87-11972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마포-00105호 Copyright ⓒ CommunicationBooks, Inc. All Rights Reserved.
커뮤니케이션북스 홈사이트는 인터넷익스플로러9 이상, 크롬, 파이어폭스를 권장합니다.

툴바로 바로가기
    • 컴북스가기
    • 주제로찾기
      • PR
      • 광고
      • 뉴미디어
      • 마케팅커뮤니케이션
      • 문화콘텐츠
      • 미디어산업과정책
      • 미디어론
      • 방송/영상
      • 스피치와작문
      • 영화
      • 저널리즘
      • 정기간행물
      • 커뮤니케이션학
      • 한국어
    • 컴북스는?
    • 지만지가기
    • 주제로찾기
    •    지구촌고전
      • 문학
      • 사회
      • 역사
      • 예술
      • 인문
      • 자연
      • 철학
    •    한국문학
      • 동시
      • 동화
      • 문학평론
      • 수필
      • 소설
      • 시
      • 육필시
      • 첫시집
      • 희곡
    •    기타
    • 상세주제로보기
    • 청소년특선
      • 청년고전247(모바일)
      • 청년고전247(PC)
    • 태그
    • 지만지는?
    • 학이시습가기
    • 주제로찾기
    •    HRD
    •    공교육개혁과대안
    •    교수학습방법
    •    문해학습과실천
    •    이론&역사연구
    •    일상에서배우기
    •    진로설계학습
    • 외국인을위한한국어읽기
    • 학이시습은?
    • 지식공작소
    •    경제/경영
    •    달리기/마라톤
    •    인문교양
    •    자기계발
    •    자서전/회고록
    •    지식공작소는?
    • 노마
    •    노마는?
    • 기획시리즈
    • 오디오북
      • 100인의 배우, 우리 문학을 읽다
      • 100인의 배우, 세계 문학을 읽다
      • 길용우가 읽는 박태원 삼국지
      • 법정스님 108법문 (상)
      • 베개 타고 떠나는 이야기 여행
      • 빨강머리 앤 1권 초록지붕 집 이야기
      • 빨강머리 앤 2권 에이번리 이야기
      • 빨강머리 앤 3권 레드먼드 이야기
      • 셰익스피어 4대 비극
      • 세계 환상문학 걸작선
      • 커뮤니케이션 이해총서
      • 한국동화 문학선집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읽기
      • 지만지 한국희곡 선집
    • 로그인
    • 회원가입
    • 문의
    • 출간문의
    • FAQ
    • 자료실
    • 컴북스닷컴
    •    저자
    •    철학
    •    혁신
    •    편집
    •    디자인
    • 튜토리얼영상
    •    열람서비스
    •    컴북스캐시충전
    •    리딩패킷
    • 도서관의친구
    • 도서관을위한강연
    • 도서관을위한도서목록
    • 사서를위한FAQ